기획 총 218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기획] 업비트·빗썸 이해상충, 확인했더니 '그래도 잘 지키더라'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이해상충(利害相衝)은 사전적인 의미보다 공정함에 힘이 실린다. 이를 거래소 업계에 적용하면 특수 관계인에 따른 셀프 상장 금지 조항과 재단과 사전 정보를 습득한 후에 거래하는 이른바 던지기, 재단과 거래소가 묻지마 상장으로 홀더를 개미지옥에 밀어 넣는 사례 등이 실질적인 예다.업비트나 빗썸이 포진된 원화마켓 거래소 협의체 DAXA도 이해상충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이 존재하며, 강제성이 없음에도 회원사 5곳은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사실 이해상충 실태 점검은 업비트에서 진행한 '본 이벤트는
블록체인정동진 기자11-19 15:54 -
[기획] 서든어택 "내가 핵을 썼다고요?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요?"
| 내외경제TV=주현웅 기자 | 서든어택과 글로벌 플랫폼 로블록스에서 잇따라 제기된 무고밴 논란이 단순한 운영 실수 수준을 넘어 게임사의 제재 시스템 전반에 대한 구조적 문제로 번지고 있다.이용자들은 공통으로 "무슨 사유로 정지를 당했는지조차 모르겠다"라며, 해명 기회조차 제공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제재됐다고 주장하고 있다.먼저, 넥슨이 서비스하는 서든어택은 지난 9월 이후 해킹 프로그램 사용과 관련한 영구 정지 조치를 받은 이용자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비인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계정이 차단됐다"라며
게임주현웅 기자10-27 14:34 -
[기획] 금융당국, 빗썸 사례로 배운 게 있나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특금법이 일명 바스프라 부르는 거래소의 자격(오더 북, 트래블 룰, 프라이버시 코인, 자체 발행 토큰 금지)을 논한다면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은 말 그대로 홀더라 부르는 이들의 권익 수호를 위한 예치금 이자와 보험 등에 초점이 맞춰진다.특금법과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이 비슷하지만, 이면에는 전혀 다른 영역인 것처럼 빗썸의 테더마켓 오더 북 공유도 '같은 사안, 다른 관점'의 영역이다. 요 며칠 사이에 '빗썸 오더 북 공유'로 각종 기사가 쏟아졌지만, 그 와중에 눈에 띄는 용어는 절차적 충분성이다. 이를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9-25 01:54 -
[기획] 빗썸 오더 북 공유, 절차적 충분성 지켰나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또 시작이다. 규제의 최전선에 서있는 금융위원회와 규제의 테두리에서 공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빗썸 사이에 묘한 신경전이 포착했다. 하지만 일개 기업이 규제기구와 맞서 대립각을 세운다는 의도 자체가 불가능하고, 규제기관이나 기구는 항상 강자이자 기업은 약자의 위치에 선다.이번 빗썸의 오더 북 이슈 이면에는 금융당국과 기업의 호흡이 엇박자를 내면서 벌어진 일종의 해프닝에 가깝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처럼 관점에 따라 쟁점이 달라지는 사안도 아닌 탓에 뒤를 봐야 한다. 오더 북 공유 무엇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9-25 01:24 -
[기획] 프로젝트 레오니다스 feat.이탈리아 은행협회(ABI)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이탈리아에서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CBDC 프로젝트다. 국내 금융기관이 민간의 성격을 앞세워 스테이블 코인에 열을 올리는 것과 달리 은행들만 참여, 핵심만 추려 연구를 진행한 프로젝트라는 점이 다르다.특히 이탈리아는 과거 리라에서 유로로 전환, 유로존에 있는 국가임에도 CBDC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자연스럽게 자국에서 진행한 CBDC 프로젝트는 유로존 국가와 연계한 CBDC까지 고려, 국가 간 통합 CBDC 표준화를 위한 연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프로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9-16 17:06 -
[기획] 프로젝트 인타논 feat.태국 중앙은행(BOT)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프로젝트 인타논(Project Inthanon)은 태국 중앙은행(BOT, Bank of Thailand)이 주도, 현지 금융기관 8곳과 R3의 코르다(Corda) 등 총 10곳이 참여해 디지털 바트(THB)를 연구하기 위한 금융 혁신 프로젝트다.특히 캐나다와 홍콩, 싱가포르 등처럼 국가의 상징과 국립 공원의 이름을 따온 프로젝트로 명명, 프로젝트 인타논으로 출발했다.앞으로 프로젝트 재스퍼, 프로젝트 라이언락, 프로젝트 우빈 등을 소개할 예정이니 이번 프로젝트 인타논은 페이즈 1과 2에서 진행한 개념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8-29 16:08 -
[기획] 프로젝트 가루다 feat.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인도네시아의 상징이자 신화에 등장하는 새들의 왕 가루다(Garuda). 신성한 존재 가루다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ank Indonesia)이 주도하는 디지털 루피아(IDR)를 위해 프로젝트 가루다(Project Garuda)로 2022년 11월부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이전까지 인도네시아를 나타내는 존재였지만, 앞서 다른 국가가 앞다퉈 CBDC 정책과 규제를 정비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의 프로젝트 가루다는 남다른 면이 존재한다.지금까지 싱가포르의 프로젝트 가디언, 홍콩의 프로젝트 앙상블, 호주의 프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8-20 01:40 -
[기획] 프로젝트 아카시아 1부 feat. 호주 중앙은행(RBA)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호주의 국화(國花)는 아카시아다. 현재 호주 금융당국이 힘을 합쳐 진행 중인 CBDC는 프로젝트 아카시아로 명명됐다. 이를 토대로 5년 전 호주 CBDC의 씨앗을 뿌린 이후 프로젝트 아카시아를 진행하면서 CBDC의 꽃을 피우기 위한 호주를 따라 가본다.기사에 언급된 금융 당국은 다음과 같으며, 직역보다 금융위원회의 '주요국가 금융감독기관' 표기법을 따른다. 특히 DFCRC는 10년간 1억 8천만 호주 달러(한화 1625억 원)를 투입해 산업, 학계, 연구기관 등이 금융 선진화를 위한 프로젝트 진행 중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8-13 11:53 -
[기획] 프로젝트 앙상블 feat. 홍콩금융관리국(HKMA)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HSBC(The Hongkong and Shanghai Banking Corporation Limited)와 스탠다드 차타드(Standard Chartered Bank Hong Kong), 앤트 그룹 등 금융 기업 3곳은 싱가포르의 프로젝트 가디언과 홍콩의 프로젝트 앙상블에 모두 참여 중이다.지난 21일 '프로젝트 가디언 feat.싱가포르 통화청(MAS)' 기사에서 언급된 프로젝트 가디언은 프로젝트 오키드와 구분, 싱가포르 달러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험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프로젝트 앙상블도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7-30 17:48 -
[기획] 프로젝트 가디언 feat.싱가포르 통화청(MAS)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프로젝트 가디언(Project Guardian)은 2022년 5월부터 싱가포르 통화청(MAS,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이 주도해서 진행 중인 금융 혁신 프로젝트다.프로젝트 취지는 암호화폐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워내고, 블록체인을 전통 금융에 접목하는 것이다.Project Guardian is a collaborative initiative between policymakers and the financial industry to enhance liquidity and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7-21 17:22 -
[기획] 거래소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할 수 없다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몇 년 전 광풍처럼 휘몰아쳤던 메타버스의 망령이 스테이블 코인으로 빙의된 가운데 국내 거래소 업계의 관심사는 스테이블 코인 발행 여부다. 단적으로 글로벌 거래소 3대장 바이낸스의 비앤비(BNB), HTX의 후오비 토큰(HT), 오케이엑스의 오케이비(OKB) 등은 자체 발행 토큰이 존재한다.하지만 국내 거래소 업계는 특금법 시행령에 따라 거래소 자체 토큰이나 코인 등을 발행할 수 없으며, 상장도 할 수 없다. 이는 업비트 APAC의 업비트 태국이 밈코인과 거래소 발행 토큰을 금지한 것과 같은 규제다.이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7-15 22:33 -
[기획] 싱가포르 DTSP 규제, 라이센스 없으면 다 나가라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싱가포르가 싱가포르 통화청(MAS,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을 중심으로 암호화폐 규제 빌드업을 완성했다. 2020년 1월 28일 자금 결제법(PSA, Financial Services Agency)의 개정을 거듭해 1차 시행했다. 당시 PSA는 국내외 관련 업계에서 통용되는 암호화폐, 암호자산, 가상자산 대신 디지털 자산으로 명시했지만, 개정과 보완을 거듭하면서 디지털 결제 토큰(DPT, Digital Payment Token)의 정의를 내리면서 범위를 좁혔다.그 결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7-09 21:44 -
[기획] 거래소 보유 물량 매도, 1호는 누가 될까?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물 밑에서 눈치작전이 진행 중일까 혹은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지난 1일부터 국내 거래소 업계는 바스프 보유 물량의 매도가 허용됐지만, 현재까지 매도를 진행한 곳은 확인되지 않는다. 일각에서는 '1호 매도 거래소'가 되지 않겠다는 조심스러운 의견을 제시하며,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원화 마켓 거래소보다 코인 마켓 거래소가 먼저 움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18일 DAXA,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 매도 공시 게시판이 DAXA 홈페이지에 개설되어 있다. 또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6-18 22:58 -
[기획] 업비트·빗썸→바이낸스, 개인정보 전송 제각각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세이셸의 네스트 서비스 리미티드는 코인판 동물의 숲인가.글로벌 거래소 3대장 바이낸스, HTX(옛 후오비), 오케이엑스(옛 OKEx). 혹자는 크립토닷컴이나 코인베이스나 크라켄 등을 꼽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BB라 불리는 비트겟과 바이비트까지 포함하기도 한다.갑자기 이들의 이름을 언급한 이유는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국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할 때 동의를 받는 데 이러한 규제는 국내 거래소 업계도 적용된다. 하지만 개인정보를 이전받는 업체나 사업장 소재지가 분명하지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6-12 15:46 -
[기획] 업비트·빗썸 예치금 이자, 케이뱅크·KB국민은행 위협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은행과 거래소 업계의 이자 전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지난달 29일 기준금리가 기존 2.75%에서 2.5%로 인하, 2022년 8월 25일 이후 약 3년 만에 2.5%로 회귀했다. 특히 7월 1일부터 DSR(Debt Saving Ratio) 3단계가 시행되며, 대출 규제가 이전보다 강화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업계와 다른 법으로 규제되는 거래소 업계도 기준금리 인하 분위기를 감지, 예치금 이자 조정을 준비 중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금리 3.25~3.5%를 기준으로 예치금 이자를 조정했던 거래소 업
금융정동진 기자06-02 17:17 -
[기획] 저스티스 리그, DAXA vs 위믹스 FC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결국 파국(破局)이다.DAXA의 26번째 공동 대응 프로젝트 위믹스(WEMIX)가 위메이드와 위믹스 팀, 위믹스 커뮤니티 등과 연대, DAXA를 향한 공동 대응을 시작했다. 앞서 2022년 10월 27일 DAXA의 첫 번째 공동 대응 종목 위믹스 클래식(WEMIXC)의 악연에 이어 3년이 지나 판도가 바뀌었다.위믹스 커뮤니티는 미디어와 정치권을 향한 탄원서 제출과 제보, 위메이드와 위믹스는 김앤장 법률사무소와 법무법인(유한) 세종을 공동 대리인으로 참여시키는 등 각자의 역할을 분담, 공동의 목표를 향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5-08 23:47 -
[기획] DAXA는 해체가 답이다 (Feat. 위메이드·위믹스)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DAXA(Digital Asset eXchange Alliance)를 두고, 게임업계는 '닥치고 사냥'이라는 말부터 떠올린다. 흡사 레벨업을 위해 퀘스트와 미션을 모두 생략하고, 오로지 아이템 파밍과 레벨업에 집중하는 극단적인 플레이 방식이지만, 간혹 남의 몬스터를 사냥하는 스틸을 제외하고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다.하지만 DAXA는 이전부터 공동 대응 종목을 두고 고무줄처럼 결과가 엇갈린 일부 프로젝트가 존재했다. 그때는 DAXA는 권고할 뿐이며, 사업자의 고유 권한에 따라 거래 유지와 거래 종료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5-04 11:41 -
[기획] 위믹스는 상장폐지가 답이다 (Feat. DAXA)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DAXA(Digital Asset eXchange Alliance)는 위메이드의 위믹스(WEMIX)를 6월 2일 정리한다. 과거 위믹스 클래식(WEMIXC)의 유통량 이슈에 이어 이번 위믹스는 해킹 이슈로 DAXA의 공동 대응에 따라 업비트를 제외한 원화마켓 거래소 4곳에서 일제히 퇴출이 확정됐다.일반적인 재단의 프로젝트 상장 폐지는 반발을 예상할 수밖에 없고, 재단 측은 국내 법령에 따라 가처분 신청과 가처분에 따른 이의신청 등으로 이어지는 법적 공방으로 최후의 카드를 쓴다. 당연히 성난 투자자를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5-04 11:34 -
[기획] 거래소 멀티체인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빗썸은 이더리움(ETH)의 입출금을 진행하면서 아비트럼(ARB)과 옵티미즘(OP) 등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코빗도 이더리움과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베이스체인을 지원한다. 이에 비해 업비트와 코인원은 이더리움 외에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는 싱글 네트워크 전용이다.이처럼 특정 암호화폐를 특정 네트워크와 짝짓지 않고,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면 국내외 거래소 업계는 멀티 체인(Multi-Chain) 지원이라는 표현을 쓴다. 하지만 국내 거래소 업계의 멀티 체인 도입은 현물 거래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4-21 20:24 -
[기획] 위믹스(WEMIX), 상장 폐지 위기가 곧 기회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3월 18일은 위믹스(WEMIX)의 운명이 결정되는 날이다.지난 4일 빗썸과 코인원, 코빗과 고팍스 등이 DAXA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동 대응에 나선 이후 2주의 재심사를 거쳐 상장 폐지와 잔류 중에서 결과가 발표된다. 일반적으로 유의 종목에 지정된 당일부터 15일째 되는 시점에 결과가 공개되는 탓에 관련 업계나 특히 위믹스 투자자는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날짜다.현재 업계 분위기는 상장과 상장 폐지와 재상장과 상장 폐지로 이어지는 상폐 테크트리와 잔류를 위한 조건과 방법론에 따라 결과가 바뀔 수도 있
블록체인정동진 기자03-05 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