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정문 (사진출처=외교부 홈페이지)
▲외교부 정문 (사진출처=외교부 홈페이지)

[내외경제TV] 최재호 기자= 외교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포스트 코로나 및 정상화에 관한 예산을 배정했다.

외교부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2년 예산이 올해보다 1,644억 원 증가한 3조 53억 원으로 확정됐다"면서 "포스트 코로나19에 대비해 재외국민 보호 역량 강화와 스마트 업무환경 등 외교 인프라를 확충해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전 세계적인 보건위기 극복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주요국의 기술패권 경쟁 등 급변하는 외교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재정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한다.

코로나19 위기와 관련해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역내 협력 등 방역 외교를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백신 선 구매 공약 매커니즘 1억 달러 ▲루마니아 백신 도입에 상응하는 의료물품 공여 재원 88억 원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 운영 예산 2억 원이 반영됐다.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 돼서 안보·경제의 다층적·복합적 연계성 강화와 공급망 재편 가속화 등 글로벌 경제통상 질서의 개편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안보센터 신규 설립에 예산 26억 원이 책정됐다.

그리고 4차산업 혁명과 기술패권 경쟁 가속화에 과학기술외교의 필요성에 따라 거점 재외공관을 통해 주요국과 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기술 외교 예산 8억 원으로 증액 편성했다.

이와함께 포스트 코로나19에 대비해 재외국민 보호 역량 강화와 스마트 업무환경 등 외교 인프라를 확충해 계획이 있다. 

▲재외국민 무자력자에 대한 긴급지원 예산 5억 원으로 증액하고, ▲해외 위난 시 전세기 투입 등 긴급대피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을 확대했다. 

▲재외공관 원격근무 시스템, 단순 행정 자동화 등 정보화 사업에 31억 원을 편성했고 디지털 업무 환경을 조성하고 국격에 걸맞게 재외공관 국유화 시설 유지·보수하기 위해 재외공관 리모델링 사업을 증액했다.

외교부의 주요 세입원인 여권 발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신규발급 예산이 편성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