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경제TV] 김지연 기자=금융당국은 최근 발생한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사태에 대해 코인거래서 긴급 점검에 들어간 가운데 권도형 대표가 또 다른 블록체인을 만들겠다는 발언이 화제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권 CEO는 "인터넷에 올린 게시물에서 실패한 테라USD 코인을 없애고 테라 블록체인의 코드를 복사해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면서 두 번째 테라 생태계 부활 계획을 알렸다.
하지만 암호화폐 전문가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는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이자 초기 테라의 투자자였던 바이낸스의 자오창펑 CEO는 권 CEO의 테라 블록체인을 복사하자는 제안인 ‘포크(fork·블록체인이 여러 갈래로 나뉘며 새 버전이 생기는 것)’에 관련해 아무런 가치를 창조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한국산 가상화폐 테라의 지원 재단이 막대한 비트코인 보유고를 이미 대부분 팔았으며 남은 가상 자산은 피해자 보상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해당 피해 관련해 17일 가상자산 업계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에 루나와 관련한 거래량과 종가, 루나와 테라를 보유한 투자자 수, 금액별 인원수, 100만 원 이상 고액 투자자 수에 대한 현황 파악을 요청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지난 일주일 사이 증발한 루나와 테라의 시가총액만 약 450억 달러(약 57조 7800억 원)에 달하고, 국내 피해자는 2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루나 사태와 관련해 국내 거래소들이 적절한 대응과 조치를 했는지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금융당국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의 투자자 보호에 더욱 관심을 두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