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결국 코인원도 코인 대여를 서비스로 추가했다. 이로써 DAXA 회원사 중에서 코빗과 고팍스만 남았다.
회사 측은 금융 당국과 DAXA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수적으로 접근, 이른바 코인빚투 방지를 위해 안전장치를 설정했다. 실제 서비스는 지난주부터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의 코인원 앱 업데이트로 추가됐지만, 오늘(15일)이 되어서야 공식 자료를 배포했다.
이를 두고 업계는 과거 코인원이 마진거래로 고초를 겪어 이에 대해 다른 사업자와 다르게 철저하게 접근, 업비트나 빗썸보다 이슈에 휘말리지 않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비록 코인원도 하락장에서 수익 극대화를 노리는 숏이지만, 청산 리스크를 담보금 대비 88~92%로 설정해 수수료도 하루 0.05%로 산정했다.
일반적인 거래 수수료가 수수료 얼리버드와 같은 쿠폰 없이 0.2%로 책정한 것에 비해 낮지만, 고위험 상품군으로 분류해 단순히 보유하는 홀더에 비해 본격적인 트레이딩인 탓에 거래소도 이슈에 휘말리기 쉽기 때문이다.

더욱 코인원은 과거의 악몽이 재현될 수 있는 탓에 서비스 곳곳에 제약을 걸어놔 '청산 리스크'를 강조해 둔 상황이다. 반면에 과거와 달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업자들이 약속한 조항이 많은 덕분에 일종의 연대 의식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거래소 업계는 특금법과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등에 의해 규제의 장막이 펼쳐졌고, 틈을 메우기 위한 제도권 정비는 진행 중이다. 그래서 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추가, 금융 당국과 조율해 예년과 달리 호흡을 맞춰가는 형국이다.
이러한 부분에서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무조건 안 돼'라는 인식보다는 '이 정도는 조심하는 게 좋겠다'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 결과 현물 거래 시장만 기형적으로 성장한 시장 분위기와 달리 바스프의 역할과 DAXA의 책임론까지 더해지면서 최소한의 규제를 바탕으로 육성이라는 단어가 조금씩 언급되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과거 야만의 시대에서 하나둘씩 제도권으로 속속 진입, 가이드라인에 따라 서비스를 선보이는 현상은 긍정적이다. 코인원도 별 탈 없이 서비스를 이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