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외경제TV=정동진 기자 | 대만에서 국위선양에 앞장서고 있는 스마일게이트의 MMORPG 유닛 로드나인이 라인 넥스트(LINE NEXT)에 발목을 잡혔다.
지난 7월 라인 넥스트가 스마일게이트와 협력해 로드나인의 아이템 마켓을 준비 중이라는 공식 자료는 사실과 전혀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항목에서 사실과 전혀 다른 항목이 공개됐으며, 미디어를 대상으로 공개된 자료 전문은 일부 국가에서 삭제돼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11일 라인 넥스트에 따르면 9월 중 공개를 앞둔 로드나인 대만 빌드의 아이템 마켓은 NFT가 아닌 일반 아이템을 판매할 예정이다.
이미 티저 사이트가 공개된 이후 예약자에 한해 카이아(KLAY)가 보상 특전으로 제공됐고, 설명 자료에서도 애플페이와 구글 페이, 카이아 토큰으로 로드나인의 아이템을 살 수 있다는 자료가 배포됐음에도 두 달이 지나도록 방치 중이다.

대만은 국내 특금법-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금융위로 이어지는 규제와 관리·감독기관의 부재가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태국과 마찬가지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정회원도 아니며, 아시아 태평양 자금세탁방지구(Asia/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 회원국으로 이름을 올린 게 전부다. 그래서 법 시행 시기와 법에 명시된 암호화폐의 용도와 범위에 따라 아이템 마켓 자체의 존립 여부가 달라진다.
문제는 라인 넥스트가 스마일게이트, 엔엑스쓰리게임즈 등과 협의할 때 규제 리스크에 대해 논의했는 지 여부다. 또 라인 넥스트가 7월에 공개한 'LINE NEXT and Smilegate’s Strategic Collaboration for a Gamer-Centric Gaming Economy' 제하의 자료가 스마일게이트와 협의를 이뤘는 지도 물음표다.
내외경제TV는 라인 넥스트의 입장을 확인하려고 담당자의 연락처로 전화 통화를 3회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에 스마일게이트와 카이아 DLT 재단의 설명을 토대로 최종 확인을 위해 라인 넥스트 담당자의 이메일로 공식 질의서를 보냈다.
스마일게이트 측은 내외경제TV에 공식 입장과 정정 보도를 요청했습니다.
내외경제TV는 반론권 보장(Right of replay)에 따라 스마일게이트의 추가 설명 자료를 '타임 라인'에 추가합니다.
2024년 9월 11일 오후 4시 35분
- 내외경제TV 사실 확인 요청 질의서를 라인 넥스트에 전달
2024년 9월 11일 오후 4시 50분
- 라인 넥스트 담당자 이메일 수신 및 문자 전송(메일로 확인 요청 부분을 확인해 답변을 드리겠다)으로 1차 입장 갈음
2024년 9월 11일 오후 5시 1분
- 라인 넥스트 담당자와 8분 5초간 통화(정리해서 전달할 계획)로 2차 입장 갈음
2024년 9월 11일 오후 9시 1분
- 스마일게이트 : 라인 넥스트와 협업은 진행 중이며, 현재 한국과 대만에서 서비스 방향성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