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문화축제'는 국내 성소수자들의 최대 행사로 불리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제공
퀴어문화축제'는 국내 성소수자들의 최대 행사로 불리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제공

[내외경제TV] 김지연 기자=서울시가 내달 서울광장 일대 퀴어문화축제 개최를 승인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퀴어문화축제'는 국내 성소수자들의 최대 행사로 불리고 있다. 

성 소수자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참여하는 퀴어축제는 2000년 시작됐다. 신촌, 홍대 등을 시작으로 2015년부터는 서울시의 승인 아래 서울광장에서 매년 개최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2019년부터는 온라인으로만 진행됐으며 올해부터 오프라인에서 개최됐다. 퀴어축제는 성소수자의 인권 보호 등의 의미로 세계 일부 국가인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지난 15일 서울특별시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시민위)는 회의를 열고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조직위)'가 신청한 서울광장 사용 안건을 가결했지만 시민위는 조직위가 신청한 7월 12일부터 17일 총 6일간의 행사 기간을 7월 16일 하루로 줄여 허용했다.

다만 전날 오후부터 무대 설치 등 행사 준비는 가능하게 했으며 이번 축제에서는 신체를 과도하게 노출하거나 청소년보호법상 금지된 유해 음란물을 판매하거나 전시하지 않도록 하는 조건이 생겼다.

앞서 코로나19로 인해 퀴어축제가 중단 후 3년 만에 열릴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이날 국내 원숭이두창 의사환자(의심자)이 출현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2일 방역당국은 원숭이두창 의사환자(의심자)인 외국인 1명과 내국인 1명에 대해 검사를 진행 중이다.

의사환자 중 1명은 입국 후 하루가 지나 병원을 방문한 뒤 격리돼 그 사이 대인 접촉이 있었을 가능성도 높다.

질병관리청은 "21일 오후 전신증상 및 피부병변의 임상증상을 보이는 2명이 원숭이두창 의사환자로 신고돼 현재 검사를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은 국내 원숭이두창 의심 환자 발생과 관련, 항바이러스제를 조속히 도입할 것을 방역 당국에 주문했다.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