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내외경제TV
그래픽=내외경제TV

[내외경제TV] 정동진 기자=지난 23일 업비트는 거래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선택 기능이 포함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며, 라이트코인을 유의 종목으로 지정했다.

같은 날 빗썸 측도 거래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강화된 익명 전송(Confidential Transaction) 선택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일명 상폐 경고를 강행했다.

재단이 소프트포크 소식을 알린 게 5월 20일, 업비트와 빗썸이 투자 유의를 진행한 게 5월 23일이다. 초 단위로 거래되는 거래소 시장에서 3일 동안 다크코인으로 취급받게 될 라이트코인의 거래 수수료를 챙겼다.

이보다 앞서 올해 1월 31일에 재단이 업그레이드 완료 소식을 안내한 것과 비교하면 약 4개월(113일)의 차이가 난다. 재단의 공식 포럼과 국내외 미디어에 게시된 외신을 확인했다면 라이트코인의 위험성을 4개월 동안 묵과했던 게 업비트와 빗썸 등의 메이저 거래소다.

라이트코인 재단은 공식 뉴스룸에 밈블웜블 업그레이드 소식을 알렸다. / 자료=라이트코인 재단
라이트코인 재단은 공식 뉴스룸에 밈블웜블 업그레이드 소식을 알렸다. / 자료=라이트코인 재단

업비트를 기준으로 1월 31일 종가는 1개당 13만4700원, 2월 9일은 16만9200원을 기록했다. 빗썸도 1월 31일 종가는 1개당 13만2700원, 2월 9일은 16만6700원에 거래됐다.

같은 시기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 쟁글은 ▲2월 3일, 라이트코인 MWEB 업그레이드 공식 출시 후보(RC)로 이용 가능 ▲3월 18일, 라이트코인 코어 릴리즈 후보 5(0.21.2rc5) 출시 ▲5월 10일, 라이트코인 코어 v0.21.2 업그레이드 등 3번의 공시를 통해 프라이버시 기능이 담긴 'LIP003'을 언급했다.

즉 제휴 관계가 아닌 업비트를 제외하고, 나머지 거래소는 쟁글의 공시를 무시했거나 재단의 공식 자료도 검토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그게 아니라면 라이트코인이 다크코인이 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장삿속만 챙겼다는 의혹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 된다.

쟁글도 라이트코인 재단 소식을 한글로 번역, 공시 플랫폼에 등록한게 2022년 2월 3일이다. / 자료=쟁글
쟁글도 라이트코인 재단 소식을 한글로 번역, 공시 플랫폼에 등록한게 2022년 2월 3일이다. / 자료=쟁글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