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경제TV] 정동진 기자=18일 본지 와치독 팀이 BIG 4(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에서 거래 중인 암호화폐를 전수 조사한 결과 4곳이 모두 취급하는 34종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출금 수수료를 산출했다.
그 결과 무료를 유료로 책정했거나 최소 1.6배에서 최대 100배까지 차이가 났다. 스텔라루멘(XLM)과 리플(XRP)은 거래소 4곳이 1개로 책정됐지만, 에이다(ADA)는 코인원이 다른 3개 거래소에 비해 2배 높게 책정됐다.
또 위믹스(WEMIX)는 코빗이 0.1개로 책정, 업비트-빗썸-코인원 등이 출금 수수료를 0.05개로 책정한 것에 비해 2배 높았다.
기간 : 1차 2월 1일~8일 / 2차 2월 9일~16일 / 3차 2월 17일
방식 : 상장 폐지된 프로젝트 포함한 전수 조사, 중복 코드 네임까지 검수
산출 : 거래소 출금 수수료를 토대로 고객 체감 수수료를 비례식으로 계산
공식 : 원화 환산 수수료 '1개 : 거래 가격=출금 수량 : 산출 수수료(Y)'로 적용
가격 : 2월 17일 업비트 원화마켓 종가 기준, BTC 마켓은 종가를 원화로 전환
참고 : 빗썸은 수수료 쿠폰 미적용 가격, 종가 기준으로 계산해 변동될 수 있음

이번 조사는 2월 1일부터 2월 15일까지 2주일에 걸쳐 확인했으며, 각 거래소의 최소 출금 금액과 수수료 쿠폰(빗썸만 해당)을 적용하지 않은 가격 등을 취합했다. 또 실명 계좌를 발급받아 원화마켓까지 운영하는 거래소만을 1차 대상으로 선별했으며, 향후 해외 거래소와 비교한 2차 리포트를 공개할 예정이다.
우선 컴파운드(COMP)는 ▲업비트 0.18개 ▲빗썸 0.03개 ▲코인원 0.2025386개 ▲코빗 0.07개다. 1개당 16만 원을 기준으로 출금 수수료를 원화(KRW)로 계산하면 ▲업비트 28,800원 ▲빗썸 4,800원 ▲코인원 32,406원 ▲코빗 11,200원으로 코인원이 빗썸의 약 7배다.
또 다이(DAI)는 ▲업비트 24개 ▲빗썸 15개 ▲코인원 1개 ▲코빗 20개로 1개당 1, 220원으로 계산하면 ▲업비트 29,280원 ▲빗썸 18,300원 ▲코인원 1,220원 ▲코빗 24,400원으로 코빗이 코인원의 24배다.
또한 신세틱스(SNX)는 ▲업비트 12개 ▲빗썸 0.7개 ▲코인원 5.38637729개 ▲코빗 3개로 1개당 5800원으로 계산하면 ▲업비트 69,600원 ▲빗썸 4,060원 ▲코인원 31,240원 ▲코빗 17,400원으로 업비트가 빗썸의 17배다.

이 외에도 이캐시(XEC)는 ▲업비트와 빗썸이 1000개 ▲코인원 10만 개 ▲코빗 1만 개로 1개당 0.0957원으로 계산하면 ▲업비트와 빗썸 96원 ▲코인원 9,570원 ▲코빗 957원으로 코인원이 업비트의 100배다.
암호화폐 대장 비트코인 출금 시 1개당 49,376,000원(2월 17일 업비트 종가) ▲업비트 44,438원(0.0009 BTC) ▲빗썸 49,376원(0.001 BTC) ▲코인원 74,064원(0.0015 BTC) ▲코빗 49,376원(0.001 BTC)으로 코인원이 업비트에 비해 1.6배 비싸다.
반면에 이더리움은 1개당 3,527,000원으로 ▲업비트 63,486원(0.018 ETH) ▲빗썸 35,270원 (0.01 ETH) ▲코인원 70,540원 (0.02 ETH) ▲코빗 35,270원 (0.01 ETH)으로 코인원이 빗썸에 비해 2배 비싸다.
종합하면 거래소 4곳이 모두 취급하는 종목 34개 중에서 공동으로 비싼 것을 제외하고 ▲업비트 9개 ▲코인원 7개 ▲빗썸 2개 ▲코빗 2개 순이었다. 그래서 암호화폐에 관심이 있거나 특정 거래소를 선호하는 것보다 투자 대상에 따른 선물과 레버리지 거래까지 고려한다면 출금 수수료까지 확인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