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경제TV] 정동진 기자=위믹스(WEMIX)가 업비트의 원화 마켓과 비트코인 마켓에 입성하면서 잡음이 일고 있다. 업계의 불문율로 통하는 '거래소 선 공지, 재단 후 공지'를 어겨 부당이득을 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늘(11일) 오전까지만 하더라도 위믹스의 5천 원 대 방어선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업비트와 위믹스 재단 측의 커뮤니케이션 실수로 상장 거래 시간을 공개, 빗썸을 비롯해 코인원과 코빗 등 위믹스가 이미 거래 중인 거래소의 출금 이슈가 촉발됐기 때문이다.
업비트는 본지의 사실확인 요청에 '위믹스(WEMIX) 거래지원 개시 시간 관련 의혹에 대한 안내'라는 제목으로 돌연 해명공지를 내놨다. 내용인즉슨 거래지원 관련 정보를 재단과 공유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재단의 거래 시간 공개를 재단의 실수라고 판정한 것이다.
PM 01:18 - 업비트, WEMIX 거래지원 개시 공지 (거래지원 개시 시각 미공지)
PM 01:52 - 위믹스 팀, 공식 트위터 채널에 거래지원 개시 시간을 PM 6:00(GMT 09:00)로 게시
PM 02:23 - 업비트 운영팀, 위믹스에 트위터 삭제 요청
PM 02:45 - 위믹스 팀, "내부적으로 미스커뮤니케이션이 있었습니다."라고 업비트 운영팀에 답변
이를 두고 코인판, 코박 등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제기된 '사전 정보 유출'은 업비트가 위믹스 재단에 소명을 요청, '내부 미스커뮤니케이션'라는 답변을 공개함으로써 일단락되는 듯했다.
일각에서는 위믹스가 업비트 이전에 다른 거래소에 상장된 사례가 있고, 단순한 실수라고 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거래소와 재단의 상장 프로세스는 계약서 작성을 비롯해 상장가, 최소 거래 수량, 전송 네트워크 등의 거래에 필요한 세부적인 항목까지 조율해 업비트와 위믹스 재단의 석연찮은 해명에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참고로 빗썸과 코인원, 코빗은 암호화폐 공시 사이트 '쟁글'과 협력 관계이지만, 업비트는 아니다. 즉 각종 프로젝트 공시와 관련해 독자적으로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이번에 발생한 이슈는 협약서 위반 사유에 해당한다.
업비트의 가상자산 거래지원 종료 정책에 따르면 해당 가상자산이 업비트에 거래지원이 개시되었을 당시 맺었던 서비스 조건 및 협약서를 가상자산 개발팀 또는 관계자들이 위반한 경우 거래쌍 삭제, 즉 상장 폐지한다.
기술력 검증과 유동성 저조가 투자유의 종목 지정을 거쳐 1주일의 소명과 함께 재심사를 거치는 것과 달리 협약서 위반은 즉각 상장 폐지 사유다.
이와 관련해 본지의 투자유의 종목이나 거래지원 종료 확인 요청에 업비트 측은 즉답을 피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