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 / [자료 사진]= 외교부 홈페이지
정의용 외교부 장관 / [자료 사진]= 외교부 홈페이지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주한미군기지에 아프가니스탄 난민을 수용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23일 정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했다. 이날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이 “미국이 주한미군 기지 내 아프간 난민 수용을 원한다면 반드시 우리 정부의 허락이 있어야 하느냐”고 물었고, 정 장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정 장관은 "아주 초보적인 가능성을 초기 단계에 논의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심각하게 논의된 건 아니다"라며, “주한미군 기지가 아프간 난민을 수용하는데 활용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 주한미군 당국도 본국 정부로부터 그런 지시를 받은 적 없다고 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 장관은 "한미 간에 협의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며 "만일 이런 게 있다면 비용은 철저하게 미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한국 정부에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들을 국내에 수용할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그동안 정부가 20여년 간 상당한 금액의 원조도 하고, 종합병원이나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며 “그 과정에 참여하거나 도움을 준 아프간인이 상당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분들이 한국으로 이주하기를 희망하는 분들도 있다”며 “이분들이 안전하게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정부도 여러 가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우리에게 도움을 준 분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시간을 내서 관련 분야를 총괄하고 있는 최종문 2차관으로 하여금 비보도 조건으로 설명해 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 21일(현지 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해 “미 국방부가 한국, 일본, 코소보, 이탈리아 등에 있는 미군 기지에 아프간 난민을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카타르와 바레인, 독일 등에 있는 미군 기지가 아프간 난민으로 과밀 상태에 이르렀다. 이에 바이든 행정부가 대안으로 미국 외에 일본, 한국, 독일, 코소보, 바레인, 이탈리아 내 미군 기지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주한미군 사령부는 22일 "현재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출국하는 사람들에게 임시숙소나 다른 지원을 제공하라는 임무 지시를 하달 받은 바 없다"라며 "만약 임무수행 지시가 내려지면 주한미군은 한미동맹과 강력한 연합 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미 국무부, 미 국방부, 한국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