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경제TV] 정동진 기자=게임업계가 암호화폐 시장 진출 통로로 관련 사업체의 지분 투자를 활용하는 모양새다. 자회사를 통한 블록체인 사업 전개보다 투자를 통해, 관련 규제에 따른 제약을 지켜보면서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전부터 게임업계는 NHN엔터테인먼트의 OKEx코리아 지분 10% 투자를 시작으로 게임빌-코인원, 위메이드-비덴트 등 지분 투자를 꾸준히 진행했으며, 최근 펄어비스도 NFT 프로젝트 디파인의 투자자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면서 국내외 암호화폐 시장을 지켜보기 시작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디파인은 500만 달러 규모 투자 유치 소식을 알리며, 펄어비스를 비롯한 선미 소속사 '어비스 컴퍼니'나 SNK의 온버프 NFT 등 엔터테인먼트와 게임업계가 참여했다.
이를 두고 펄어비스 캐피탈이 아닌 펄어비스가 직접 프로젝트팀에 투자하면서 '암호화폐 시장 진출설'이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졌다.
VC업계에서 펄어비스 캐피탈은 나부스튜디오(게임), 짐싸(이사), 클라썸(교육), 코드브릭(핀테크) 등 다수의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또 펄어비스 캐피탈조차 암호화폐 관련 사업에 투자한 사례가 없어 펄어비스의 직접 투자가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에 펄어비스가 투자자로 참여한 디파인은 과거 디파인 아트로 불렀던 NFT 소셜 프로젝트다. 아티스트나 인플루언서, 크리에이터 등이 등록하는 NFT 플랫폼을 표방, 이미 해외서 서비스 중인 NFT 마켓 라리블(Rarible)과 비슷한 모델이다.
라리블도 표면적으로 NFT 마켓이지만, 재단을 통해 마켓 이름과 같은 암호화폐 라리블(Rarible, RARI)을 발행해 핫빗과 크라켄 등에 상장해 거래 중이다.
디파인은 싱가포르 법인 어댑티브 테크놀로지스(Adaptive Technologies Pte. Ltd)가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로드맵에 따르면 3분기 이더리움 기반 디파 토큰(DFA) 발행을 앞두고 있어, 향후 펄어비스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설 불씨는 살아있을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