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내외경제TV
그래픽=내외경제TV

[내외경제TV] 정동진 기자=컴투스홀딩스가 코인엑스(CoinEx)의 랜섬 리스팅(RANSOM LISTING)에 또 당했다. 지난 3월 테라 기반 C2X(CTX)에 이어 코스모스 기반 엑스플라(XPLA)도 연거푸 도둑 상장의 희생양으로 떠올랐다.

21일 금융위, 금융정보분석원(FIU) 등에 따르면 코인엑스는 지난 8월 금융위와 금융정보분석원(FIU) 등이 수사기관에 통보한 거래소 16곳 중 하나로, 특금법에 따라 신고 수리를 하지 않은 불법 거래소다.

이는 곧 코인엑스의 테더마켓(XPLA/USDT)에서 거래 중인 엑스플라와 관련해 거래소의 먹튀나 상장 폐지, 에어드랍 등 재단과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고스란히 홀더의 피해로 돌아간다는 의미다.

업비트가 블랙 리스트로 지정한 거래소 16곳 명단 / 이미지=업비트 갈무리
업비트가 블랙 리스트로 지정한 거래소 16곳 명단 / 이미지=업비트 갈무리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에서 코인엑스는 업비트 진영의 트래블 룰 솔루션 '베리파이바스프'나 빗썸 진영의 '코드' 소속이 아니며, 특히 거래소 업계에서 블랙리스트로 분류해 입출금이 불가능하다.

단 1개라도 전송을 받는 즉시 국내에서 영업 중인 거래소는 특금법 시행령을 위반, 과태료나 영업 정지 등의 행정 처분이 내려진다.

그래서 엑스플라가 국내에 입성하더라도 정식 경로로 거래소에 입금할 수 없으며, 거래소 업계의 화이트 리스트 '메타마스크'를 경유한 입금 내역만 탈이 없다. 하지만 이조차 거래소와 메타마스크를 거치는 탓에 이중 수수료가 발생, 모든 피해는 홀더에게 돌아간다.

문제는 금융당국이 불법 거래소로 명단까지 공개한 거래소에 상장했다는 자료를 배포한 컴투스홀딩스다. 3월은 도둑 상장, 12월은 공식 상장으로 돌연 입장을 바꾼 배경에 컴투스홀딩스의 태도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이와 관련해 내외경제TV는 컴투스와 컴투스홀딩스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으며, 향후 공식 입장을 반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