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경제TV] 김지은 기자=한 일본 매체가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 속 게임들이 모두 일본에서 유래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29일 니혼게이자신문(닛케이)의 서울지국장 스즈키 쇼타로는 '오징어게임이 담고 있는 일본의 잔영'이라는 칼럼을 통해 오징어게임'에 등장하는 게임들이 대부분 일제 강점기 때 한국으로 전파된 놀이라고 언급했다.
스즈키 국장은 해당 칼럼에서 "오징어게임을 보고 향수를 느낀 사람도 있을 것"이라며 "그것은 드라마 속 게임 대부분이 일본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대표 사례로 들며 해당 놀이가 일본의 '달마상이 넘어졌다'와 가사만 다르고 규칙과 선율이 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의 임영수 연기향토박물관장의 발언을 인용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도 했다. 임 관장은 "일제 강점기 때 아이들이 일본어로 '달마상이 넘어졌다'는 놀이를 따라하는 것을 본 독립운동가가 같은 선율로 바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로 변형돼 퍼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딱지치기', '구슬치기', '달고나뽑기' 등이 모두 일본인에게 익숙한 놀이라고 지적했다. 심지어 드라마 제목인 '오징어게임' 역시 일본이 원조라고 주장했다. 스즈키 국장은 칼럼에서 "오징어 게임은 바닥에 S자를 그리며 서로의 진지를 공격하는 놀이로 일본이 뿌리라는 설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한국 교과서에는 이러한 놀이가 일본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기술돼 있지 않다"라고 꼬집었습니다. 실제로 임 관장은 27개 놀이에 대해 일본의 놀이라는 것을 기술하도록 교육부에 신청해 교육부는 이미 국정교과서 수정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임 관장은 "일본의 놀이니까 놀지 말라고 말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며 "다만 일본의 놀이가 왜 한국에 들어왔는지 그 역사를 알 필요가 있다. 나라를 빼앗기면 문화도 빼앗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임 관장은 지난해 우리 전통놀이로 알려진 '우리 집에 왜 왔니'에 대해서도 일본에서 전래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임 관장의 주장에 일부 놀이학자들이 반론을 펴며 2년 넘게 논쟁이 벌어졌다. 이에 교육부는 ‘우리 집에 왜 왔니’는 일본 놀이 ‘하나이치몬메’와 비슷한 점이 있으나 노래 선율이나 가사 내용이 전혀 달라 일본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