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픽사베이

블록체인 기술이 축산물 이력관리시스템에 활용돼 앞으로 소고기 위생 및 안전에 문제가 생기면 10분 이내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20일,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을 접목한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오는 12월까지 전북지역에 시범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6월에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의 핵심 추진과제인 '6대 공공시범사업' 가운데 하나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협업해 올해 초부터 진행해 왔다.

지난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축산물 이력제'는 소의 사육단계부터, 도축, 식육포장, 판매단계까지의 정보를 기록·관리해 축산물에 대한 위생·안전 등 문제 발생 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제도이다. 

하지만 단계별 이력 관련 정보를 대부분 5일 이내 신고해야해 신고 전에 문제가 생기면 이력 정보 파악에 시간이 많이 걸렸고 신고 기간 단축을 강제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또한 단계별로 도축검사증명서, 등급판정확인서 등 5종의 증명서를 종이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었고 위변조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었다.

▲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새로 도입되는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은 쇠고기 유통 단계별 이력정보와 각종 증명서를 블록체인에 저장 공유함으로써 현행 이력제 업무의 신뢰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축산농장과 개별 소에 근거리 통신장치를 부착하는 등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사람의 개입 없이 관련 정보들이 자동 입력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사육·도축·포장·판매 단계별로 단절돼 있는 이력 정보들을 블록체인으로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기존 5일 이내 신고대상 정보들뿐만 아니라 소 개체 단위에서 실물 포장단위 등 더욱 세분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해 문제 발생 시 유통과정의 추적시간을 10분 이내로 단축했다. 

특히 각종 증명서도 블록체인에 저장해 단계별 당사자 간 서류 위변조 걱정 없이 모바일 앱이나 웹으로 증명서 내용을 공유·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내년 1월부터 전북지역 축산농가와 도축장 등에서 시범 운영된다.

과기정통부 김정원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이 식품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단계의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여 국민 먹거리 안전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내년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식품과 같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박병홍 축산정책국장은 "블록체인이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면 정부 주도의 관리·감독이 아닌, 제도 참여자가 관련 법규를 스스로 준수하게 되어 정부입장에서도 상당한 업무 효율화가 기대 된다"면서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블록체인 및 IoT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충분히 검증하고 민간 및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내외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